염증성 장질환의 핵심은 조기 진단과 치료다. 그러나 증상을 경험한 후 한참 후에야 병원을 찾는 사례가 허다하다. 그는 “젊은층에서는 정기검진이 활성화되지 않은 데다 증상이 일반 장염과 유사해 조기 진단·치료가 쉽지 않다”며 “증상이 장기적으로 반복하면 전문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염증성 장질환은 발병 원인을 몰라 완치가 어렵다. 그러나 고혈압·당뇨병처럼 적절하게 치료하고 관리하면 일상생활을 하는 데 무리가 없다. 그는 “염증성 장질환은 염증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며 “증상에 따라 항염증제, 생물학적제제 등의 약물을 사용해 장 협착·폐쇄·천공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염증성 장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양괴사인자(TNF)’의 과도한 작용을 차단하는 생물학적제제가 개발돼 염증 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약물로도 효과가 없거나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 대장 용종·선종이 생겼을 때는 대장을 절제하는 수술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삶의 질이 낮은 편이다. 특히 사회적 인식 부족이 환자의 고충을 키운다. 갑작스러운 복통과 설사로 공중화장실을 급하게 이용할 때 특히 그렇다. 진 회장은 “학회 차원에서 환자가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때 양보와 배려를 촉구하는 ‘화장실 배려 캠페인’을 진행하고자 한다”며 “시민들이 환자의 긴급 상황을 이해하고 화장실 사용을 양보해 줄 수 있도록 인식을 바꾸는 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에서는 인식 개선 활동과 함께 교육의 장(場)도 마련한다.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부닥치는 어려움을 파악해 극복 방안을 교육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국내 치료 환경을 반영한 표준 진단·치료 지침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진 회장은 “국내 환자의 특성과 보험 체계가 잘 반영되도록 계속 표준지침을 업데이트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번 발병하면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환인 만큼 의료비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그는 “현재 염증성 장질환은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경감해 주는 건강보험 제도(산정 특례) 대상 질환”이라며 “환자 규모가 커지더라도 이 혜택이 계속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